본문 바로가기
이슈/환경

별의 바다와 플랑크톤, 그리고 해양 오염의 경고

by la mancha 2025. 4. 18.
728x90
반응형


몰디브에서 반짝이는 밤바다, ‘별의 바다(Sea of Stars)’ 현상을 본 적 있으신가요? 이는 마치 하늘의 별이 바다 위에 떨어진 듯한 아름다운 장면을 연출합니다. 하지만 이 환상적인 빛 뒤에는 우리가 반드시 지켜야 할 해양 생태계의 위기가 숨어 있습니다.

별의 바다란 무엇인가요?


‘별의 바다’는 실제 지명이 아니라, 생물 발광(Bioluminescence)을 일으키는 플랑크톤으로 인해 바닷물이 밤에 푸른빛을 내는 자연 현상입니다. 몰디브, 일본 오키나와, 미국 샌디에이고 등지에서 관찰되는 이 현상은, ‘야광 플랑크톤’(주로 Noctiluca scintillans)이 외부 자극을 받을 때 발광함으로써 발생합니다.

왜 빛을 낼까?


이는 플랑크톤이 **물리적 자극(파도, 사람의 발, 배의 모터 등)**을 받을 때, 내부의 루시페린이라는 물질과 효소가 반응하면서 생기는 화학 발광입니다.


플랑크톤의 중요성: 지구 생태계의 숨은 영웅


플랑크톤은 지구 산소의 50% 이상을 생산하며, 해양 생물들의 먹이사슬 최하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종류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식물성 플랑크톤: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생성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합니다.

동물성 플랑크톤: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살아갑니다.


이들이 사라지면?


플랑크톤의 감소는 곧 물고기, 고래, 해양포유류의 먹이 부족으로 이어지고, 이는 인간의 식량 문제와도 직결됩니다.

해양 오염과 플랑크톤의 위기


지금, 플랑크톤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1. 미세플라스틱 오염

연간 1,500만 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바다로 유입되고 있으며,

1mm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은 플랑크톤과 어류의 체내에 축적됩니다.

2019년 기준, 바다에는 약 171조 개, 230만 톤의 미세플라스틱이 존재합니다.

먹이사슬을 따라 결국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합니다.


2. 기후 변화

해수 온도 상승, 해양 산성화로 플랑크톤 서식지가 급변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산호초 파괴, 어업 감소, 탄소 흡수력 저하로 이어집니다.


3. 기타 오염원

기름 유출, 중금속, 생활 하수 등은 해양 생물에 직접적인 독성 피해를 줍니다.

영양염류 유입으로 적조 현상이 발생해, 산소 고갈과 함께 **‘죽음의 바다(Dead Zone)’**를 만들어냅니다.


플랑크톤을 보호하는 방법은?


1. 플라스틱 줄이기

일회용품 대신 다회용 제품 사용
재활용 분리배출 철저히


2. 친환경 소비

해양 생태계를 고려한 식품/화장품 선택
화학 비료·세제 사용 줄이기


3. 환경 교육과 캠페인 참여

지역 해변 정화 활동 참여
해양 오염 관련 시민 교육


4. 지속 가능한 어업 지원

MSC(해양관리협의회) 인증 제품 소비
해양보호구역 확대 지지


별처럼 반짝이던 바다가 사라지기 전에


‘별의 바다’는 우연히 마주하는 자연의 기적이지만, 이 기적을 영원히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플라스틱, 무심코 흘려보낸 생활 오수, 탄소 배출의 결과가 바다의 건강을 무너뜨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플랑크톤은 작지만, 그 영향력은 지구 전체에 미칩니다.
바다를 지키는 것은 결국 우리 자신의 삶을 지키는 일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