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컴퓨터공학과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전공으로,
수학적 사고력, 문제 해결 능력, 창의적 알고리즘 설계 능력 등을 평가합니다.
학종에서는 단순히 ‘코딩 좋아요!’가 아니라
어떤 주제에 흥미를 느끼고, 그에 대해 어떻게 탐구하고 발전했는가가 핵심입니다.
이 글에서는 컴공과 학종을 준비하는 학생을 위해
✅ 생기부 작성 전략
✅ 합격생 실제 사례
✅ 교과 세특 문장 예시
✅ 대학별 평가 포인트
✅ 진로 독서 추천 도서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컴퓨터공학과 생기부 작성 전략 핵심 포인트
영역생기부 작성 전략
자율활동 | 소프트웨어 캠프, AI/로봇 대회, 학교 내 SW 프로젝트 등 주도성 강조 |
동아리 | 프로그래밍 실습, 알고리즘 문제 해결, 자율 프로젝트 수행 |
세특 | 수학, 과학 개념과 컴공 응용 연결 → 탐구형 학습 과정 강조 |
진로활동 | SW직업군 탐색, 전공 체험, 진로멘토링 참여 내용 포함 |
독서활동 | 컴공 기초 이론, 최신 기술, 컴퓨팅 사고 관련 도서 필수 |
📝 컴퓨터공학과 합격생 생기부 사례
🔹 고1: 진로 탐색기
- 진로 시간에 ‘소프트웨어 개발자’ 관련 조사 및 발표
- 『코딩 호러』, 『컴퓨터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독서
- 정보과목에서 알고리즘 기초 학습 및 간단한 게임 구현
🔹 고2: 본격적 활동 심화
- 프로그래밍 동아리 활동 (C언어, Python 실습)
- 『코딩 인터뷰 완전 분석』 독서 후 알고리즘 스터디 진행
- 수학 시간, ‘이진탐색의 수학적 원리’ 주제로 발표
- 소프트웨어마에스트로 진로캠프 참가 경험
🔹 고3: 주도적 실천의 해
- 교내 홈페이지 개선 프로젝트 주도
- 정보과목에서 개인 앱 개발 과정 포트폴리오 작성
- 『인공지능의 미래』 독서 후 딥러닝 개념에 대한 탐구 보고서 제출
→ 탐구-적용-확장-실천의 흐름이 뚜렷하고, 진로와 교과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사례!
📚 교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 문장 예시
교과세특 예시 문장
수학 | “수열 단원의 반복 패턴을 프로그램 구조화에 적용하며 논리적 사고를 표현함.” |
정보 | “Python의 반복문과 조건문을 활용해 직접 미니게임 구현, 오류 수정 과정에서 문제 해결력을 보임.” |
과학 | “논리회로 단원에서 디지털 연산 개념을 컴퓨터 구조와 연결 지으며 높은 흥미를 보임.” |
진로 | “IT 기업의 AI 알고리즘 적용 사례를 분석, 진로 관련 보고서 작성 능력 우수함.” |
독서 | 『클린 코드』, 『컴퓨터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등 전문 도서를 통해 전공에 대한 이해도 향상됨. |
🎯 대학별 컴퓨터공학과 학종 평가 포인트
대학평가 기준유리한 생기부 포인트
서울대 | 수학적 사고력, 학업 역량 | 수학·정보 세특 중심의 문제 해결형 탐구 과정 |
KAIST | 창의성, 융합적 사고 | 프로젝트 기반 활동, AI·IoT 등 최신 기술 응용 |
성균관대 | 전공 적합성, 자기주도성 | 동아리 기반 프로그램 개발, 탐구 보고서 |
한양대 | 문제 해결력, 표현 능력 | 코딩·앱 개발 실적, 구체적인 탐구 흐름 |
고려대 | 컴퓨팅 사고력, 탐구 지속성 | 학년별 심화된 프로그래밍 경험, 수학과의 연계 |
📌 공통 포인트: 단순한 기술 습득이 아니라, 탐구 중심의 문제 해결력과 자기주도성 강조!
📘 컴퓨터공학과 진로 독서활동 추천 도서 TOP 10
분야도서명저자특징
컴퓨터 구조 | 『코드』 | 찰스 페촙 | 컴퓨터 작동 원리의 기초 개념을 스토리텔링으로 설명 |
컴퓨팅 사고 | 『생각하는 기계』 | 월터 아이작슨 | 컴퓨터의 역사와 알고리즘 발전 과정 소개 |
프로그래밍 | 『클린 코드』 | 로버트 C. 마틴 | 효율적인 코드 작성과 문제 해결 사고 강조 |
알고리즘 | 『Do it!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 박응용 | 실전형 알고리즘 문제풀이 역량 강화 |
진로 | 『실리콘밸리의 철학자들』 | 이지성 | 개발자의 관점과 글로벌 트렌드 소개 |
AI/데이터 | 『인공지능의 미래』 | 닉 보스트롬 | AI와 사회 변화에 대한 통찰 제공 |
수학적 사고 | 『수학의 미학』 | 정경훈 | 수학이 컴퓨터과학에 어떻게 응용되는지 이해 가능 |
프로그래밍 입문 | 『생활코딩! HTML+CSS+JS』 | 이고잉 | 웹 프로그래밍 기초 실습형 입문서 |
컴공 전공 소개 | 『컴퓨터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 Charles Petzold | 전공 입문서로 강추, 이론 + 원리 중심 |
진로 확장 | 『미래를 읽는 IT 트렌드』 | 김승주 외 | 최신 기술 동향과 진로 연결 시 유용 |
📌 독서 팁:
- 단순 나열 X → 읽은 후 탐구, 실습, 활동으로 연계해야 평가 UP!
- 독서 + 세특 + 동아리 활동을 한 줄 스토리로 연결하는 구조가 효과적
✨ 마무리 요약
컴퓨터공학과 학종의 핵심은 '문제 해결 중심 + 수학·정보 연계 + 자기주도 탐구'다.
단순 코딩 실력보다
"왜 이 전공을 택했는지 → 어떤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는지 → 어떻게 발전해나갔는지"
이 서사를 학생부 전 영역에서 연결하는 것이 진짜 전략입니다.
이 정보를 그대로 베끼는 것은 전략이 될 수 없습니다. 방향을 찾는 데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2028 대입을 위한 평범한 학생의 인서울 전략: 학생부종합정형 분석!
2028 대입을 위한 평범한 학생의 인서울 전략: 학생부종합정형 분석!
2028 대입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전략은 수시와 정시의 차이를 이해하고, 각각의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입니다. 특히 수시에서 기회를 잘 활용하면, 정시에서 더 나은 결과를
mynews7856.tistory.com
'고등학교 생활 > 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경영학과 학종 완벽 가이드|합격생 생기부 예시 + 세특 문장 + 대학별 평가 포인트 + 독서 추천 (1) | 2025.03.28 |
---|---|
📚 영문과 학종 완벽 가이드|생기부 예시 + 세특 문장 + 평가 포인트 + 독서 추천 (2) | 2025.03.28 |
🌍 국제학과 학종 합격 전략 총정리|생기부 예시 + 세특 문장 + 대학별 평가 기준 + 독서 추천 (1) | 2025.03.28 |
📚 교육학과 학종 완벽 가이드|생기부 예시 + 세특 문장 + 평가 포인트 + 독서 추천 (3) | 2025.03.28 |
🎓 미디어학과 학종 합격 전략 완전 정리|생기부 예시 + 세특 문장 + 대학별 평가 기준 (3) | 2025.03.28 |
🎯 진로를 정하지 못한 고등학생을 위한 생기부 방향과 입시 전략 (1) | 2025.03.26 |
경영학과 지망생을 위한 문학 교과 세특 도서 추천 (4) | 2025.03.23 |
간호학과 지망생을 위한 과목별 생기부 추천도서 TOP 20 (5)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