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논어

[논어] 10편 「鄉黨 항당」 : 공자의 일상 속 품격, 군자의 생활 예절

by la mancha 2025. 4. 14.
728x90
반응형

『논어』 제10편 「鄉黨(향당)」은 공자의 일상적인 태도와 예절을 기록한 독특한 장입니다. 이 편에서는 공자가 어떻게 앉고, 걷고, 먹고, 말하고, 인사하며, 제사를 지내는지까지 매우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단순한 사소한 행동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공자가 중시한 **예(禮)**와 품격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鄉黨」 편의 주요 특징

구분내용
중심 주제 공자의 일상 예절과 품격
키워드 예(禮), 절제, 군자의 태도, 몸가짐, 겸손
특징 공자의 생활방식이 매우 세부적으로 묘사됨

💬 핵심 구절 10선 + 한자 음독 및 해설

1. 鄉黨恂恂如也,似不能言者

(향당순순여야, 사불능언자)
👉 “고향 사람들 사이에서는 공자가 순순하고 말 못 하는 사람처럼 행동하였다.”
겸손하고 신중한 태도, 타인 앞에서 자기를 내세우지 않음.


2. 事父母幾諫,見志不從,又敬不違

(사부모기간, 견지불종, 우경불위)
👉 “부모님을 섬길 때는 은근히 간하며, 뜻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공경하면서 어기지 않았다.”
→ 효도의 바른 태도를 보여주는 대표 구절.


3. 食不語,寢不言

(식불어, 침불언)
👉 “식사할 때는 말하지 않고, 잠자리에 들 때도 말하지 않았다.”
절제와 집중의 미덕, 군자의 침묵.


4. 見齊衰者,雖狎必變;見冕者與瞽者,雖褻必以貌

(견제쇄자, 수압필변; 견면자여고자, 수설필이모)
👉 “상복 입은 자나 맹인, 어른을 보면 친하더라도 예의를 갖추었다.”
모든 사람에게 존중을 실천하는 모습.


5. 朋友死,無所歸者,曰:於我殯

(붕우사, 무소귀자, 왈: 어아빈)
👉 “벗이 죽어 돌아갈 곳이 없으면 ‘나에게 장례를 치르게 하라’고 하였다.”
진심어린 우정과 책임감이 드러나는 장면.


6. 廄焚,子退朝曰:傷人乎?不問馬

(구분, 자퇴조왈: 상인호? 불문마)
👉 “마굿간이 불탔을 때 공자는 사람 다쳤냐고 물었지, 말에 대해 묻지 않았다.”
인(仁)을 최우선으로 여긴 공자의 마음.


7. 與人言,必忠

(여인언, 필충)
👉 “사람과 말할 때는 반드시 진실되게 하였다.”
→ 말에도 신의와 정직을 담는 태도.


8. 衣敝縕袍,與衣狐貉者立,而不恥者

(의폐온포, 여의호학자립, 이불치자)
👉 “누더기 옷을 입고도 비단옷 입은 이와 나란히 서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내면의 도가 중심, 외모나 겉치레에 흔들리지 않음.


9. 寢不尸,居不容

(침불시, 거불용)
👉 “잘 때도 시체처럼 눕지 않았고, 앉아 있을 때도 잘난 체하지 않았다.”
몸가짐의 단정함과 절도가 묻어나는 구절.


10. 入太廟,每事問

(입태묘, 매사문)
👉 “태묘에 들어갈 때마다 공자는 모든 일에 물었다.”
겸손과 경외심, 군자의 격식 있는 태도.


🧠 공자의 일상이 곧 ‘도(道)’였다

『논어』 10편 「향당」은 언뜻 보면 단순한 생활 예절처럼 보이지만, 이 편이 전하는 메시지는 명확합니다. 공자는 일상의 모든 순간에도 도(道)를 실천했다는 것입니다.

그의 말투, 걸음걸이, 식사 예절, 심지어 옷차림까지도 타인을 배려하고 품격을 지키는 철학의 표현이었습니다.


✅ 오늘날 적용하기: ‘품격 있는 사람’이 되는 법

현대적 해석공자의 태도
말할 때 생각하고 말하기 食不語(식불어)
부모와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법 幾諫(기간), 敬不違(경불위)
겉보다 속을 보는 삶 不恥(불치), 必忠(필충)
진정한 리더십 상하 구분 없는 존중, 무위의 실천

✍️ 마무리: 삶의 모든 순간을 도(道)로 채우는 철학

공자는 도를 따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일상 그 자체를 도로 만들었습니다.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공자의 대답이 고스란히 담긴 「鄉黨」 편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가르침을 줍니다.


📌 다음은 『논어』 제11편 「先進(선진)」입니다. 제자들의 개성과 평가, 그리고 공자의 교육 철학이 더욱 풍부하게 드러나는 장이죠. 계속해서 함께해요!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