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논어

[논어] 9편 「子罕 자한」: 공자의 겸손과 철학적 침묵의 미학

by la mancha 2025. 4. 14.
반응형

『논어』 제9편 「子罕(자한)」은 제목 그대로 “공자께서 좀처럼 말씀하지 않으셨다”는 구절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이 편에서는 공자가 유독 말을 아끼고, 직접 행동과 태도를 통해 제자들에게 도(道)의 실천을 보여주려 했다는 점이 드러납니다.

공자의 철학이 사변적인 말잔치가 아닌, 삶 속에서 구현되는 실천 철학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장입니다.


「子罕」 편의 핵심 특징

구분내용
중심 주제 공자의 겸허함, 자기성찰, 무위의 교육 방식
키워드 도(道), 침묵, 실천, 겸손, 군자의 태도
특징 공자가 직접 “잘 모른다”, “나는 그렇지 않다”고 인정하는 대목이 많음

💬 핵심 구절 10선 + 한자 음독 및 해설

1. 子罕言利,與命與仁

(자한언리, 여명여인)
👉 “공자는 이익에 대해서는 좀처럼 말씀하지 않으셨고, 천명과 인(仁)에 대해서만 말씀하셨다.”
→ 이익보다 **인(仁)과 명(命)**을 중시한 철학자의 태도.


2. 子曰 我非生而知之者,好古,敏以求之者也

(자왈 아비생이지지자, 호고, 민이구지자야)
👉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자가 아니다. 옛것을 좋아하고, 민첩하게 배운 자일 뿐이다.”
겸손함과 끊임없는 배움의 자세를 강조.


3. 子不語:怪力亂神

(자불어: 괴력난신)
👉 “공자는 괴상한 일, 힘, 난동, 귀신에 대해서는 말씀하지 않으셨다.”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것에 관심을 두지 않음을 보여주는 대목.


4. 回也,其心三月不違仁,其餘則日月至焉而已矣

(회야, 기심삼월불위인, 기여즉일월지언이이의)
👉 “안회는 세 달 동안 마음이 인(仁)을 어기지 않았다. 나머지는 하루 이틀 갈 뿐이다.”
→ 안회의 인내력과 덕성의 깊이를 극찬.


5. 子曰 吾猶及史之闕文也

(자왈 오유급사지궐문야)
👉 “나는 사관의 결문(빠진 기록)도 도달할 수 있다.”
기록과 진실의 겸허한 태도, 자신도 완전한 판단자가 아님을 인정.


6. 子畏於匡

(자외어광)
👉 “공자가 광(匡)에서 위협을 당했다.”
→ 철학자의 고난의 여정을 보여주는 실화. 진리의 길은 언제나 평탄하지 않다.


7. 子曰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

(자왈 오미견호덕여호색자야)
👉 “나는 덕을 좋아하기를 색을 좋아하듯 하는 자를 본 적이 없다.”
인간의 본능적 욕망덕을 향한 태도에 대한 반성.


8. 子曰 賢哉,回也!一簞食,一瓢飲,在陋巷,人不堪其憂,回也不改其樂

(자왈 현재, 회야! 일단사, 일표음, 재루항, 인불감기우, 회야불개기락)
👉 “현명하구나, 안회는! 한 바가지 음식과 물을 가지고도 누추한 곳에서 즐거움을 잃지 않는다.”
청빈함 속에서도 도(道)를 잃지 않는 삶을 찬양.


9. 子曰 我不試,故藝

(자왈 아불시, 고예)
👉 “나는 시험받지 않아서 예술(技藝)을 익혔다.”
자신의 미천한 환경조차 배움의 기회로 삼는 공자의 겸허함.


10. 子曰 苟有用我者,期月而已可也,三年有成

(자왈 구유용아자, 기월이이가야, 삼년유성)
👉 “만약 나를 써주는 이가 있다면, 한 달이면 성과가 있고, 3년이면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겸손함 속에서도 실천과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엿보이는 말.


🧠 자한 편이 던지는 메시지: 진짜 리더는 말보다 실천

『논어』 9편 「자한」은 군자의 도가 **지식이 아니라 ‘인격’과 ‘실천’**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공자가 ‘나는 아는 자가 아니다’라고 솔직하게 말함으로써 가르침의 출발은 자신을 낮추는 데서 비롯됨을 보여줍니다.

핵심 가치내용
겸손 “나는 모른다”, “나는 배우는 자일 뿐이다”라는 자기 인식
실천 도(道)는 말로 설명하기보다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
현실주의 괴력난신에 집착하지 않고, 실제적 윤리 실천 강조

✅ '도’를 위한 침묵과 자기 점검

『논어』 제9편 「자한」은 공자의 가르침 중에서도 가장 내면 중심적인 통찰을 담은 편입니다. 말보다 더 강한 침묵의 철학, 그리고 끊임없는 자기 성찰. 오늘날 스피드와 과시의 시대에 이보다 더 필요한 메시지가 있을까요?


📌 다음 편에서는 『논어』 제10편 「鄉黨(향당)」으로 이어갑니다. 공자의 일상적 행동과 예의범절을 중심으로, 진정한 품격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