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어] 1편- 학이편 : 공자의 배움 철학과 대표 구절 10선
『논어』는 공자와 제자들의 언행을 모은 고전으로, 동양 사상의 근간이 되는 책입니다. 그 첫 장인 **학이편(學而篇)**은 '배움'에 대한 근본적 태도와 인간관계의 중요성, 군자의 자세를 담고 있습니다. 오늘은 논어 1편 학이편을 바탕으로, 공자의 가르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대표 구절 10선과 함께 핵심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
📚 논어 1편 학이편이란?
‘학이(學而)’는 **“배우고(學) 때때로 익힌다(而)”**는 뜻입니다. 공자는 삶의 시작이 ‘배움’에 있다고 보았고, 올바른 배움은 자기 수양, 인간관계, 사회적 책임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했습니다.
💬 대표 구절 BEST 10
①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②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③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화내지 않는다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④ 吾日三省吾身
(오일삼성오신)
나는 하루에 세 번 나 자신을 반성한다.
→ 자기 성찰의 중요성을 강조
⑤ 賢賢易色
(현현이색)
어진 사람을 어질게 여기기를 여색보다 쉽게 하라.
→ 외모보다 인격을 중시하라
⑥ 父母在 不遠遊 遊必有方
(부모재 불원유 유필유방)
부모님이 계실 때는 멀리 나가지 말고, 간다면 반드시 그 방향을 알려라.
→ 효(孝)의 실천
⑦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군자무본 본립이도생)
군자는 근본을 힘써 닦는다. 근본이 바로 서면 도가 생긴다.
→ 기초가 튼튼해야 바른 길이 열린다
⑧ 道千乘之國 敬事而信 節用而愛人 使民以時
(도천승지국 경사이신 절용이애인 사민이시)
큰 나라를 다스릴 때는 공경하고 신뢰하며, 절약하고 백성을 사랑하며, 시기를 맞춰 일을 시켜야 한다.
→ 지도자의 올바른 자세
⑨ 巧言令色 鮮矣仁
(교언영색 선의인)
말을 꾸미고 얼굴빛을 좋게 하는 사람은 인(仁)이 적다.
→ 겉치레보다 진심이 중요
⑩ 三人行 必有我師焉
(삼인행 필유아사언)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
→ 누구에게나 배울 점이 있다는 겸손함
🧠 학이편의 핵심 주제 3가지
1. 배움은 반복되고 즐거운 과정
공자는 단순히 ‘지식 축적’이 아닌 ‘삶의 태도’로서의 배움을 강조합니다. “배우고 때때로 익히는” 지속적 학습을 중요하게 여겼죠.
2. 군자의 자세
‘군자’란 단순한 지식인이 아니라, 덕을 갖춘 사람입니다.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바라지 않고도 스스로 부끄럼 없이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3. 인간 관계의 예절과 성찰
효(孝), 신뢰(信), 겸손(謙), 인(仁) 등 공자의 인생 철학이 일상의 언행 속에 녹아 있습니다.
✨ 마무리: 지금 우리에게 주는 교훈
『논어』 학이편은 지금 시대에도 유효한 메시지를 줍니다.
“기초를 다지고, 성실히 배우고, 타인과의 관계를 중시하라.”
바쁜 일상 속에서도 이 원칙들을 떠올리면 한층 더 깊이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독서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8편 「泰伯 태백」: 공자가 말한 진정한 리더의 조건은? (1) | 2025.04.14 |
---|---|
[논어] 9편 「子罕 자한」: 공자의 겸손과 철학적 침묵의 미학 (0) | 2025.04.14 |
[논어] 6편 「雍也 옹야」 : 지혜로운 사람과 어진 사람, 어떻게 다른가? (0) | 2025.04.14 |
[논어] 7편 「述而 술이」: 공자, 나는 창조자가 아니라 전달자다 (2) | 2025.04.14 |
[논어] 5편- 공야장(公冶長): 공자의 제자 평가와 인물 보는 안목 (0) | 2025.04.13 |
[논어] 4편 -이인편 : 공자가 말하는 인(仁)의 본질과 군자의 삶 (1) | 2025.04.13 |
[논어] 3편- 팔일편 : 공자의 예(禮) 철학과 군자의 품격 (0) | 2025.04.13 |
[논어] 2편 - 위정편 : 공자의 정치관과 군자의 통치 철학 10구절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