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쟁이
도종환
저것은 벽
어쩔 수 없는 벽이라고 우리가 느낄 때
그때
담쟁이는 말없이 그 벽을 오른다.
물 한 방울 없고 씨앗 한 톨 살아남을 수 없는
저것은 절망의 벽이라고 말할 때
담쟁이는 서두르지 않고 앞으로 나아간다
한 뼘이라도 꼭 여럿이 함께 손을 잡고 올라간다
푸르게 절망을 다 덮을 때까지
바로 그 절망을 잡고 놓지 않는다
저것은 넘을 수 없는 벽이라고 고개를 떨구고 있을 때
담쟁이 잎 하나는 담쟁이 잎 수 천 개를 이끌고
결국 그 벽을 넘는다

절망을 넘어서는 연대와 의지의 상징, 「담쟁이
도종환의 「담쟁이」는 평범한 담쟁이덩굴을 통해 절망적 현실과 시련을 극복하는 인간의 의지, 그리고 연대의 힘을 노래하는 현대시의 대표작입니다.
이 작품은 ‘벽’이라는 극복 불가능해 보이는 장애물 앞에서 좌절하는 인간과, 묵묵히 벽을 오르는 담쟁이의 모습을 대비시켜, 끝내 벽을 넘는 희망과 용기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수능과 내신 등 각종 평가에서 자주 다뤄지는 작품으로, 현실 극복과 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을 일깨웁니다.
1. 작품의 구조와 형식적 특징
- 갈래:자유시, 서정시
- 형식: 4연 구성,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으로 점층적으로 시상을 전개
- 운율:‘~다’의 단정적 어미 반복, 유사 문장 구조 반복을 통한 운율과 의미 강조
- 표현:의인법(담쟁이의 인간적 행동과 의지), 상징(담쟁이=극복의 의지, 벽=절망적 현실), 점층법(담쟁이의 행동이 점점 강해짐)
- 어조:담담하고 단호한 서술어 사용으로 강한 의지와 확신을 드러냄
2. 시적 화자와 주제의 해석
- 화자:시련과 절망 앞에 선 ‘우리’(인간), 그리고 이를 관조하는 시적 자아
- 주제:
- 절망(‘벽’)을 극복하는 담쟁이의 의지와 생명력
- 좌절하지 않고 연대(‘여럿이 함께’)하며 나아가는 삶의 자세
- 선구자적 리더십(‘담쟁이 잎 하나가 수천 개를 이끌고’)과 공동체의 힘
- 현실의 고난과 한계 상황을 극복하는 희망의 메시지
3. 주요 상징과 표현 기법
- 상징
- 담쟁이: 절망을 극복하는 의지, 연대와 협동의 상징
- 벽: 극복하기 힘든 현실, 시련, 한계, 사회적 모순
- 푸르게 절망을 다 덮을 때까지: 절망을 희망으로 덮어내는 과정
- 담쟁이 잎 하나와 수천 개의 잎: 선구자와 공동체, 지도자와 대중의 협력
- 표현 기법
- 의인법: 담쟁이에게 인간의 의지와 행동을 부여
- 점층법: ‘말없이 오른다 → 서두르지 않고 나아간다 → 손을 잡고 올라간다 → 결국 그 벽을 넘는다’로 점점 강해지는 담쟁이의 행동
- 반복: 유사한 문장 구조와 어미 반복으로 운율과 의미 강조
- 단정적 어조: ‘~다’ 어미로 확신과 단호함 부각
4. 창작 배경과 현대적 의미
- 창작 배경:
도종환 시인이 전교조 활동으로 해직된 뒤, 척박한 현실 속에서 담쟁이 덩굴을 보고 절망을 극복하는 삶의 자세를 깨달으며 쓴 작품입니다.
- 현대적 의미:
- 절망적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연대와 협동을 통해 극복해 나가는 자세의 중요성
- 선구자적 리더십과 공동체의 힘이 사회 변혁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
- 오늘날 사회적 위기, 개인적 시련 앞에서 실천해야 할 희망과 용기의 가치 제시
5. 수능·내신 기출 분석
주요 출제 포인트
- 벽과 담쟁이의 상징적 의미(벽=절망, 담쟁이=극복의 의지)
- 담쟁이의 행동(오른다, 나아간다, 손을 잡고, 넘는다)의 점층적 전개
- 의인법, 반복, 점층법 등 표현 기법의 효과
- 공동체 의식, 연대, 선구자적 역할의 의미
- 단정적 어조의 효과와 화자의 태도
실제 기출 유형 예시
- 담쟁이의 상징적 의미와 시적 화자의 태도 파악
- ‘벽’의 의미와 시적 상황 해석
- 반복·점층법 등 표현상의 특징 찾기
- ‘여럿이 함께 손을 잡고’의 의미와 공동체 의식의 중요성
- 마지막 연에서 ‘담쟁이 잎 하나’의 역할과 의미 분석
기출 분석 요약
- 「담쟁이」는 절망적 현실에 맞서 연대와 협동, 끈기로 극복하는 삶의 태도를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됨
- 상징, 의인법, 점층법, 반복 등 다양한 표현 기법과 주제 의식이 시험의 핵심 포인트
- 실제 사회적 시련과 연결하여 적용하는 문제도 등장
담쟁이가 전하는 삶의 자세와 교훈
도종환의 「담쟁이」는 절망 앞에 좌절하는 인간과, 묵묵히 벽을 오르는 담쟁이의 대비를 통해, 포기하지 않는 의지와 연대의 힘을 강조합니다. 담쟁이의 점진적 성장과 협동의 모습은 오늘날 우리 모두에게 시련 앞에서 함께 손을 잡고 나아가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이 시는 국어 교육 현장에서 절망 극복, 공동체 의식, 선구자적 리더십 등 다양한 주제와 표현 기법을 학습하는 데 최적의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생활 > 현대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분석] 김춘수 「꽃」 분석 (0) | 2025.04.25 |
---|---|
[현대시 분석] 황지우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0) | 2025.04.25 |
[현대시 분석] 정호승 「희망을 만드는 사람이 되라」 (0) | 2025.04.24 |
[현대시] 김소월 「진달래꽃」 작품 분석 + 수능·내신 기출 분석 (0) | 2025.04.24 |
[현대시] 정호승 「슬픔이 기쁨에게」 작품 분석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