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학교 생활/현대시 분석

[현대시 분석] 황지우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by la mancha 2025. 4. 25.
반응형

 

작품 개요 및 시대적 배경

황지우의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는 1985년 동명의 시집에 수록된 시로, 1980년대 억압적 사회 현실 속에서 민중의 주체적 의지와 생명력을 상징적으로 형상화한 대표적 민중시다. ‘겨울’은 고난과 시련, 억압의 시대(특히 1980년대 독재정권과 민주화 운동의 시대상)를, ‘봄’은 그 극복 이후의 희망과 자유, 생명력의 충만함을 상징한다.
 

주요 상징과 시어 해석

  • 나무: 고난받는 민중, 혹은 자기 존재의 본질을 찾아가는 인간을 상징.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변화와 극복을 이루는 능동적·주체적 존재로 그려진다.
  • 겨울 나무: 혹독한 현실, 억압과 고통, 시련을 상징.
  • 봄 나무: 시련을 극복한 뒤 맞이하는 생명력과 희망, 주체적 존재의 완성.
  • 영하 13도, 영하 20도: 극한의 시련과 고통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표현.
  • 온몸으로, 뿌리박고, 대가리 쳐들고: 시련에 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맞서는 주체적 태도와 의지를 강조하는 역동적·상승적 이미지.
  • 벌 받은 몸, 두 손 올리고: 고난과 억압을 견디는 수난의 자세.
  • 막 밀고 올라간다, 싹을 내밀고, 꽃 피우는 나무: 역동적·상승적 이미지를 통해 변화와 극복, 새로운 탄생의 과정을 형상화.

구조와 시상 전개

구간내용 및 의미
1~3행 나무의 자립성과 주체적 존재 선언
4~9행 겨울나무의 고난, 시련과 억압의 현실
10~14행 부정적 현실에 저항하는 의지와 내면의 불타는 갈망
15~20행 고난을 극복해가는 과정, 역동적 이미지의 사용
21~23행 마침내 꽃을 피우는, 완성된 주체로서의 나무
 

표현상 특징

  • 상징적·대립적 시어(겨울/봄, 고난/희망)의 반복적 사용으로 시대 현실을 대변.
  • 의인화, 상승적·역동적 이미지(“밀고 올라간다”, “푸르른 사월 하늘 들이받으면서”)로 주체적 극복의 과정을 형상화.
  • 반복법(“나무는 자기의 온몸으로 나무가 된다”, “꽃 피는 나무는 자기 몸으로 꽃 피는 나무이다”)을 통해 주제를 강조.
  • 쉼표와 연 구분 없는 전개로 고난과 극복의 연속성, 변화의 점진성을 드러냄.

주제 및 의의

  • 주체적으로 고난(겨울)을 극복하고 마침내 희망(봄)을 맞아 꽃을 피우는 나무의 생명력
  • 현실의 억압을 이겨내는 민중의 의지와 자기 정체성의 완성
  • 변화와 극복은 외부가 아닌 자기 내면의 힘에서 비롯됨을 강조

수능·내신 기출 유형 및 출제 포인트

주요 출제 포인트

  • 시의 상징적 시어(‘겨울’, ‘봄’, ‘나무’)의 의미 파악
  • 시상의 전개 구조(고난-저항-극복-완성) 및 시상의 전환(‘그러나’ 등 접속어)
  • 반복·의인화·상승적 이미지 등 표현상 특징 분석
  • 시대적 배경(1980년대 민주화 운동, 민중시적 성격)과의 연관성
  • 주제(주체적 극복, 생명력, 자기 정체성)의 도출

기출 유형 예시

유형예시 문제
표현상 특징 “이 시에서 반복법이 사용된 이유는?”
“상승적 이미지가 드러나는 부분은?”
시어 해석 “‘겨울 나무’, ‘봄 나무’가 상징하는 바는?”
“나무의 ‘온몸’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시상 전개 “시상이 전환되는 부분(‘그러나’)의 의미는?”
“시의 구조를 3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시오.”
주제 파악 “이 시의 주제를 서술하시오.”
“나무의 성장 과정과 인간의 삶을 연결지어 설명하시오.”
시대적 배경 “이 시가 1980년대 현실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오답 유형 주의

  • 반어법이 아니라 영탄법, 반복법이 주로 사용됨.
  • 과거 상황 환기가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상 전개임.

 

요약 정리

  •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는 1980년대 현실을 상징적 시어로 형상화한 황지우의 대표적 민중시다.
  • ‘겨울’은 고난, ‘봄’은 희망, ‘나무’는 주체적 민중을 상징하며, 시련을 극복하는 주체적 의지를 강조한다.
  • 반복법, 의인화, 상승적 이미지 등 다양한 표현법이 주제의식을 강화한다.
  • 수능·내신에서는 상징 해석, 시상 전개, 표현상 특징, 시대적 배경, 주제 도출 등이 주요 출제 포인트다.
  • 오답 유형(반어법, 과거 환기 등)에 주의하며, 반복·상징·역동성에 초점을 두고 학습하면 효과적이다.

이 글을 통해 황지우의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수능·내신 대비까지 완벽하게 준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