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학교 생활/현대시 분석

고등학교 필수 현대시 분석: 백석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수능·내신 완벽 정리

by la mancha 2025. 5. 20.
728x90
반응형

백석의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자주 수록되는 대표 현대시 중 하나로, 수능과 내신 모두에서 높은 빈도로 출제됩니다. 이 글에서는 시의 배경과 해석, 핵심 정서 및 표현 기법, 그리고 실제 기출 유형과 출제 포인트를 정리하여, 문학 개념 정리에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1. 작품 개요

  • 제목: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작가: 백석(白石)
  • 발표 연도: 1938년
  • 문학사적 배경: 1930년대 카프 해체 이후 개인 서정으로의 전환기
  • 주요 주제: 고독한 삶 속에서의 사랑과 탈속의 욕망

2. 시 전문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 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눈은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나타샤는 아름다우니까
눈은 또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아니 올 리 없다

이 세상에 고양이처럼 생긴 사람이 또 있을까
나타샤를 생각하며 나는 한참 눈을 맞는다

눈은 푹푹 나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아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를 타고
산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나리고 나타샤는 오지 않고
나는 눈 속에 홀로 앉아 소주를 마시고
생각한다 나타샤와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는 것만이 이 세상 근심을 없앨 길이라고
나타샤는 아무래도 오지 않는다


3. 핵심 정서 및 주제

  • 핵심 정서: 고독, 그리움, 환상, 탈속의 욕망
  • 주제 의식: 도시적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 자연과 순수한 사랑이 존재하는 이상 세계로의 도피를 꿈꾸는 화자의 내면적 갈망을 형상화한 작품입니다.

4. 표현상의 특징

표현 기법내용 및 효과
반복법 "눈은 푹푹 나리고", "나타샤는 아니 올 리 없다" 등 반복을 통해 고독함과 간절함을 강조
이미지화 '눈', '흰 당나귀', '산골', '마가리' 등의 시어로 환상적이고 동화적인 분위기 연출
대비 현실(소주를 마심, 나타샤가 오지 않음)과 이상(흰 당나귀를 타고 산골로 감)의 대비
비유 고양이처럼 생긴 나타샤 → 애정의 대상을 동물에 비유해 독특한 이미지 부여
시적 자아 1인칭 화자가 주체적 고독과 환상 속 사랑을 드러냄
 

5. 자주 출제되는 수능·내신 포인트

✅ 출제 포인트 요약

영역출제 유형
시어 해석 '흰 당나귀', '마가리', '눈'의 상징 의미 묻기
정서 변화 화자의 감정 흐름 파악: 그리움 → 환상 → 체념
표현 기법 반복, 이미지, 대비, 시어의 상징성 분석
주제 탈속의 욕망과 고독한 현실 인식의 대비 구조
시상 전개 방식 점층적 전개, 환상과 현실을 교차시키며 전개
 

6. 기출 문제 예시 및 분석

💡 수능 기출 예시 (유형)

문제 유형 1. 시어의 상징적 의미 파악

  • ‘흰 당나귀’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 👉 이상 세계로 이끌어 줄 환상적 매개체로, 현실 탈출의 상징입니다.

문제 유형 2. 화자의 태도 변화 파악

  • 화자의 정서 변화 과정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 👉 기대 → 상상 → 체념, 즉 감정의 고조에서 현실 직시로 진행됩니다.

문제 유형 3. 시적 대상에 대한 태도

  • 화자가 ‘나타샤’를 대하는 태도는?
  • 👉 사랑, 그리움, 동경을 느끼며 환상적 존재로 이상화합니다.

7. 분석 포인트 정리

1. 시어 분석

  • 눈: 현실을 덮는 장막, 고독감과 환상의 세계를 동시에 상징
  • 흰 당나귀: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화자의 이상향으로 가는 도구
  • 마가리: 시베리아식 오두막, 즉 자연 속 은둔처
  • 나타샤: 현실에서는 오지 않는, 이상적 사랑의 대상

2. 구조적 특징

  • 순환적 구조: 눈 → 나타샤 → 당나귀 → 눈… 현실과 환상을 반복하며 점층적으로 쌓이는 감정
  • 결말: 환상이 끝나고 나타샤는 결국 오지 않는다는 체념적 현실 인식

8. 학교 내신 대비 꿀팁

  • 내신 시험에서는 주관식 위주로 출제되므로, 시어의 상징적 의미와 화자의 정서 흐름을 서술형으로 쓸 수 있어야 합니다.
  • 시적 표현의 효과를 논술형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정리하세요. (예: 반복을 통해 나타샤에 대한 기대를 강조함)
  • 배경지식으로 백석 시인의 생애를 간략히 알아두면 해석에 도움이 됩니다. (카프 활동 → 해체 후 서정시 발표)

 

9. 이 시를 읽는 의미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단순한 연애시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는 1930년대 지식인의 현실 고통, 순수한 사랑에 대한 환상, 그리고 현실에 대한 체념이 절묘하게 어우러져 있습니다. 고등학생이라면 이 시를 통해 문학이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초월하려 하는지를 느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 시험에서도 이와 같은 입체적 접근과 해석 능력이 요구됩니다.
 

728x90